관리 메뉴

0101011001010111

미국 - 한국 관세는 대체 어떻길래? 트럼프가 자꾸 한국을 걸고 넘어지는 걸까... 본문

잡담/기타

미국 - 한국 관세는 대체 어떻길래? 트럼프가 자꾸 한국을 걸고 넘어지는 걸까...

[진주] 2025. 3. 25. 14:46
728x90
반응형

미국과 한국은 2012년 발효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대부분의 상품에 대해 관세를 철폐하거나 대폭 인하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양국 간 교역은 주로 무관세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한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

한미 FTA에 따라 한국의 대미 실효 관세율은 2015년 2.48%에서 2024년 0.79%로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담이 크게 줄어들었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공산품의 경우 대부분 무관세로 수입되고 있으며, 일부 농산물을 제외한 많은 상품이 무관세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

미국 역시 한미 FTA에 따라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하하였으며, 많은 품목이 무관세로 수입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미국 정부는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한 무역 정책을 재검토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정책에도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5년 3월 12일부터 미국은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한국산 제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최근 동향:

최근 미국은 한국을 '민감국가' 목록에 포함시키고, 상호주의적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협의를 통해 이러한 조치에서 제외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5년 3월 19일, 한국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미국을 방문하여 이러한 이슈를 논의하였으며, 한국의 투자와 무역이 미국 경제에 기여하고 있음을 강조하였습니다. 

또한, 한국 관세청은 미국의 강화된 검증에 대비하여 원산지 표시 위반 여부에 대한 특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산으로 위장한 제품의 수출을 방지하고, 미국과의 무역에서 신뢰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전반적으로, 한미 FTA를 통해 양국은 대부분의 상품에 대해 무관세 혜택을 누리고 있으나, 최근의 무역 정책 변화와 관세 부과 움직임에 따라 상호 협의와 대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FTA에 따라 관세가 높지 않은 편이며, 트럼프는 현재 한국의 부가가치세 10%도 관세로 보겠다고 말한적이 있는데... 이걸 관세로 본다면 굉장히 복잡해질 듯 하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