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0101011001010111

[뇌피셜] 트럼프의 관세 폭탄, 그리고 로봇 자동화 시대의 도래 _ 테슬라 투자이유 본문

잡담/기타

[뇌피셜] 트럼프의 관세 폭탄, 그리고 로봇 자동화 시대의 도래 _ 테슬라 투자이유

[진주] 2025. 4. 8. 16:52
728x90
반응형

 

– 제조업의 게임이 바뀌고 있다 –

2025년 4월,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 각국을 상대로 고율 관세 정책을 본격화했다.
중국과의 관세 전쟁은 다시 시작됐고, 기존 USMCA 회원국인 캐나다와 멕시코조차 예외가 아니다.
단순한 보호무역주의의 부활로 보이기에는 그 강도가 상식을 넘어선다. 왜 지금, 미국은 전 세계와 무역 전쟁을 불사할 정도의 공격적인 정책을 택한 것일까?

표면적으로는 ‘무역적자 해소’와 ‘미국 제조업 부활’이 명분이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로봇 자동화 산업에 대한 전략적 자신감이 자리잡고 있다.

 


 

제조업의 판이 바뀌고 있다

과거: 인건비 중심

1970~ 2010년대까지 제조업의 경쟁력은 인건비에 달려 있었다.
중국이 ‘세계의 공장’으로 떠오른 이유도, 인건비가 미국 대비 20분의 1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이후 동남아·인도로 공장이 이동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현재: 기술력 중심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로봇 자동화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인건비가 결정적 요소가 되지 않는 공장이 늘어나고 있다.
즉, 사람이 적게 들어가는 공장, 심지어 거의 무인 수준의 공장도 등장하고 있다.

 


 

트럼프는 무엇을 믿고 관세를 강행하나?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참모들과 보호무역 진영에서는 다음과 같은 믿음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의 제조업은 싸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효율적으로 만들고 공급망을 통제하는 것이 핵심이다.”

다시 말해, 관세로 해외 공장과 제품의 가격을 높인 뒤, 미국 내 생산을 로봇 자동화 기반으로 대체하면
인건비 걱정 없이 고품질 제품을 자체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내 주요 자동화 사례

기업명위치특징
테슬라 텍사스 기가팩토리 거의 무인 수준의 전기차 조립라인. 자체 로봇 시스템 운영.
아마존 전국 물류센터 로봇이 물건 분류, 이동, 정리. 하루 수천만 개 물류 자동 처리.
인텔 애리조나 반도체 공장 고급 반도체 완전 자동화 공정. 설비 대부분 AI 제어.
TSMC 애리조나 Fab 첨단 3nm 반도체 생산. 美정부의 전폭적 보조금 지원.
삼성전자 텍사스 반도체 공장 170억 달러 투자. 고급 자동화 설비 기반의 차세대 생산라인 구축.

 

 


 

로봇 산업의 성장 속도는 얼마나 빠른가?

  • 산업용 로봇 보급률 (2023 기준)
    단위: 1만 명당 로봇 대수
    (출처: IFR)
  • 국가보급률 (대/1만명) 
    🇰🇷 한국 1,012
    🇸🇬 싱가포르 730
    🇩🇪 독일 415
    🇯🇵 일본 397
    🇺🇸 미국 285
    🇨🇳 중국 187
  • 미국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최근 2년간 증가율이 전 세계에서 가장 빠름
  • 특히 소형 협동 로봇(Cobot)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 중

 

"사람이 많은 나라"의 장점이 사라진다

과거엔 중국, 인도, 동남아가 저렴한 노동력으로 세계 제조망을 쥐고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다르다. 자동화 덕분에 제조 원가 계산이 이렇게 바뀐다:

makefile
복사편집
과거: 중국 생산 + 저렴한 인건비 < 미국 생산 + 비싼 인건비 현재: 미국 생산 (로봇 자동화) + 무관세 < 중국 생산 + 104% 관세

자동화 기술이 계속 발전한다면, 더 이상 미국은 ‘사람 많은 나라’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자국 내에서 자동화 생산을 통해 공급망을 통제하고, 기술 유출을 막고, 위기에도 탄력 있게 대응할 수 있다.

 


 

정리하며: 제조업은 인건비 전쟁에서 기술 전쟁으로

트럼프의 고율 관세 정책은 단순한 정치적 퍼포먼스가 아니다.
이는 미국이 더 이상 노동집약적 공장에 의존하지 않고, 로봇과 자동화를 기반으로 새로운 제조 패러다임을 구축하겠다는 선언에 가깝다.

이 변화는 이제 시작일 뿐이다. 앞으로 10년 안에 세계 각국은 다음 두 갈래 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1. 고급 로봇 자동화 기술을 확보하여 자국 내 제조 역량을 키우는 국가
  2. 여전히 인건비 경쟁에 머무르다, 점차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밀려나는 국가

 

 

-사담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나는 로봇+자동화+ai를 가진 테슬라가 독점적으로 우위를 점할 기업이라 굳게 믿고 있다.

 

어제 테슬라가 210달러 대까지 내려왔다가 장이 끝난 이후엔 238달러까지 올라왔다.

 

현재 현금을 모두 소진하여 테슬라에 투자한 상황으로 투잡을 뛰며 더 테슬라 주식을 빡세게 모아보겠다.

 

당분간 상승장에서 현금채굴을 더 많이하고, 위기는 중간 선거(26년 11월)이 끝난 이후 혹은 트럼프 집권이 끝난 이후 민주당이 정권을 잡을경우

 

테슬라에는 한번 더 위기가 올 것으로 본다.

 

위기에 더 많은 테슬라 주식을 보유하기 위해 앞으로 몇년간은 빡세게 살아보겠다.

 

주주님들 화이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