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원스휴먼 먹이
- 레시피 파밍
- 원스휴먼 스타크롬
- 테슬라 시황
- 당뇨 소모성 재료 한시적 특례
- 실버 해안 리조트 비밀상자
- 실버 해안 리조트
- 소모성 재료
- 테슬라 방산진출
- 거주지 탐색
- 당뇨 소모성 재료
- 2차 비상계엄
- 원스휴먼 레시피 파밍
- 원스휴먼 동물
- 당뇨 소모성 재료 지원
- 유광버섯 통조림
- 원스휴먼 사료
- 소모성 재료 건강보험공단
- 원스휴먼 황금양털파밍
- 테슬라 오늘시황
- 소모성 재료 환급
- 원스휴먼 레시피
- 소모성 재료 등록
- 실버 해안 리조트 거주지 탐색
- 원스휴먼 황금양 구하기
- 당뇨 소모성 재료 환급
- 원스휴먼 황금양
- 원스휴먼 요리
- 원스휴먼 쿠폰
- 당뇨 소모성 재료 처방전 없이
- Today
- Total
0101011001010111
Kotlin_ 최빈값 구하기 본문
문제 설명
최빈값은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자주 나오는 값을 의미합니다. 정수 배열 array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최빈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최빈값이 여러 개면 -1을 return 합니다.
제한사항
0 < array의 길이 < 100
0 ≤ array의 원소 < 1000
입출력 예
array result
[1, 2, 3, 3, 3, 4] 3
[1, 1, 2, 2] -1
[1] 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1, 2, 3, 3, 3, 4]에서 1은 1개 2는 1개 3은 3개 4는 1개로 최빈값은 3입니다.
입출력 예 #2
[1, 1, 2, 2]에서 1은 2개 2는 2개로 최빈값이 1, 2입니다. 최빈값이 여러 개이므로 -1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3
[1]에는 1만 있으므로 최빈값은 1입니다.
class Solution {
fun solution(array: IntArray): Int {
var answer: Int = 0
return answer
}
}
먼저, 최빈값은 가장 많이 나온 숫자!
제한 사항 부터 맞춰보자.
IntArray는, 정수배열값이다 ( 정수값만 배열에 들어감! )
class Solution {
fun solution(): IntArray {
val size = Random.nextInt(0, 100)// 배열의 길이 1초과 100미만설정
return IntArray(size) {Random.nextInt(1000)} // 그 안에 들어갈값 1000미만 (0~999까지)
}
}
이제 길이를 설정해줘야하는데, 배열의 크기가 0초과 ~ 100미만이므로, 1~99임
여기서
IntArray(size) { ... }
IntArray에서는 안에 사이즈가 얼마나 클지, 꼭 설정해줘야하는데,
val size = Random.nextInt(1,100)로 범위를 미리 지정 해 준 뒤,
return IntArray(size) {Random.nextInt(1000)} 로, size에 해당 값을 넣어 주었으므로 코드는 성립된다.
IntArray(size) 괄호안에 사이즈 크기는 필수로 작성해 주어야 하며, 안 작성할 시 오류가 발생한다!
자 이제 길이가 1~99까지인 정수배열에, 랜덤값으로 0~999까지 넣는 배열이 완성 되었다.
이렇게 랜덤값이 들어갔을 때에 가장 많이 나오는 즉, 최빈값을 구해야한다.
최빈값을 구하는 공식을 짜보자.